가상세계, 현실이 되다! 메타버스 시대 '성큼'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용어조차 낯설었던 '메타버스'가 빅뱅급 대변화를 예고하며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 특히 세계적인 IT기업들은 메타버스 세계를 선점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데요, 먼저 메타버스가 가져올 미래의 변화를 김지수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가상세계와 경계 허문다…성큼 다가온 메타버스 / 김지수 기자]<br /><br />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착용하고 3차원 가상세계에 접속하자, 자신의 아바타로 탐험이 가능한 미지의 세계가 펼쳐집니다.<br /><br />가상현실 속의 감각도 수트를 통해 실제 피부로 느낄 수 있는 SF영화 '레디 플레이어 원'이 그려낸 2045년의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영화 속 상상으로 먼 미래의 모습으로만 여겨졌던,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가상공간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4명까지 동시에 접속이 가능한 이 가상공간에 손과 손가락 동작을 캡처할 수 있는 장치를 착용하고 접속하자 물건을 들어서 옮기고, 서로 주고받는 활동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"지금 제 눈 앞에는 블록들이 잔뜩 쌓여져 있는 상황인데요. 가상공간에서 물건을 하나 이렇게 집어 올렸는데, 실제 블록을 짚은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가상공간이지만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는 것 처럼 느낄 수 있도록 몰입감을 높여줄 촉감, 무게감 같은 감각 기술들이 난이도에 따라 하나씩 발전해 가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수천만원대였던 착용형 헤드셋의 가격은 50만원대까지 낮아졌고, 가상공간을 구현해낼 고성능 그래픽 카드 역시 대중화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5G, 로봇 기술과 연계해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이용 가능한 접점도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VR 쪽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360˚ 영상이란게 있거든요. 그걸 3D로 거리감을 느낄 수 있는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다면…(원격 로봇)작업을 할 때 작업성을 훨씬 더 높일 수가 있는 그런 포인트가 되니까요. 몰입감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…"<br /><br />이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와 인터넷 인프라, 그래픽 기술 급성장이 가져온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바로 '메타버스' 열풍의 배경입니다.<br /><br />이미 기업 업무도 가상공간에서 펼쳐지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실험단계라 현실의 사무실을 대체하는 수준에 이르진 못했지만 메타버스에서 수백명의 신입사원 교육이 이뤄지고, 채용 설명회가 열립니다.<br /><br />메타버스에 구축한 갤럭시 스마트폰 신제품 팝업스토어엔 최근 예약 판매 기간 동안 6,000명 넘는 고객이 방문했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기업들도 앞다퉈 메타버스 투자에 뛰어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회사 이름을 아예 '메타'로 바꾼 페이스북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조직에 지난해에만 11조원 넘는 돈을 투자했고, 마이크로소프트는 가상현실 플랫폼 '메시'를 업무용 협업 툴과 결합한 서비스를 준비중입니다.<br /><br /> "인터넷 초창기랑 동일하다고 보심 될 것 같은데, 인프라가 만들어지고 조건이 만들어질 때까진 투자가 필요하잖아요. 전방위적으로 확산이 되면서 가상화 기술, 인공지능, 블록체인 같은 것들이 (메타버스로) 융·복합화가 되고 있는 상황이고요."<br /><br />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30년 1,817조가 넘을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면서 현실과 가상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기 시작했다는 점은 분명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스마트폰 이후의 ICT 산업을 주도할 거다. 헤드셋을 이용한 ICT장비가 중요해지겠죠. 인터넷이 바뀌는 거다. 3D 가상공간에서 함께 만나는 이러한 것을 제공하는 인터넷의 시대가 온다…"<br /><br />아직은 초기 단계 수준이지만 결국 다가올 변화를 어떻게 대비하는 가란 문제만 남은 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메타버스 시장의 확장은 거침 없어 보입니다. 그런데 시장이 확대될수록 관련 범죄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. 사회적 논의를 통해 관련 업계 내 가이드라인과 제도를 정비해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늘고 있습니다. 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메타버스 장밋빛 전망에도…고개드는 범죄 우려 / 이동훈 기자]<br /><br />현재 존재하는 메타버스 서비스들의 공통점은 타인과 관계를 맺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SNS에서도 가능한 것들이지만 3차원 공간 안에서 아바타를 이용해 좀 더 감각적으로 생생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어린이들과 청소년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기준 업계 내 양대 서비스에 대한 한 조사에 따르면 한 서비스는 2억5천만여명 중 71%가 7~18세였고 다른 서비스는 62%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주 콘텐츠가 타인과의 상호작용인데 생년월일, 이름을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는 등 익명성이 강해 범죄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들어 청소년 상담 기관에는 관련 문의가 부쩍 늘었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 "12세 여학생이 실제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영상이랑 사진을 주고받아서 어머님이 발견하시고 위험해 보인다, 상담소랑 연계했으면 좋겠다 의뢰 주신…"<br /><br />아바타 간 유사성행위 강요 사례도 있었는데 관련 규제들은 아직 논의 단계로 기존 법을 정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현행법상 아바타 간 추행을 직접적인 성추행으로 볼 수 없고 아바타의 유사성행위 묘사 녹화, 편집은 성 착취물로 인정되기 어려운데, 이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메타버스는 국경이 없는 온라인 공간이기 때문에 국제 수사 공조 체계 마련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문제가 생겼지만 우리가 규정을 도입하기 어렵다거나 해당법을 적용할 수 없다거나 이런 문제가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어서 글로벌 공조체계를 같이 마련하는 게…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적절한 규제도 필요하지만 메타버스 내 범죄가 오...